728x90

1330

/*
첫째 줄에 다음 세 가지 중 하나를 출력한다.

A가 B보다 큰 경우에는 '>'를 출력한다.
A가 B보다 작은 경우에는 '<'를 출력한다.
A와 B가 같은 경우에는 '=='를 출력한다.
*/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
        if(a > b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>");
        }
        else if(a < b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<");
        }else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==");
        }
    }
}

9498

/*
시험 점수를 입력받아 
90 ~ 100점은 A, 
80 ~ 89점은 B, 
70 ~ 79점은 C, 
60 ~ 69점은 D, 
나머지 점수는 F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*/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
        if(a >= 90 && a <= 100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A");
        }else if(a >= 80 && a <= 89){
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B");
        }else if(a >= 70 && a <= 79){
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C");
        }else if(a >= 60 && a <= 69){
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D");
        }else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F");
        }
    }
}

2753

/*
연도가 주어졌을 때, 윤년이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윤년은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,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일 때이다.

예를 들어, 2012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니라서 윤년이다. 1900년은 100의 배수이고 400의 배수는 아니기 때문에 윤년이 아니다. 하지만, 2000년은 400의 배수이기 때문에 윤년이다.
*/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iYear = sc.nextInt();
        if(iYear % 4 == 0 && (iYear % 100 != 0 || iYear % 400 == 0)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1);
        }else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0);
        }
    }
}

14681

//첫 줄에는 정수 x가 주어진다. (−1000 ≤ x ≤ 1000; x ≠ 0) 다음 줄에는 정수 y가 주어진다. (−1000 ≤ y ≤ 1000; y ≠ 0)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
        int x = sc.nextInt();
        int y = sc.nextInt();
        
        if(x > 0 && y > 0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1);
        }else if(x > 0 && y < 0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4);            
        }else if(x < 0 && y > 0)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2);
        }else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3);
        }
    }
}

2884

/*
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. (0 ≤ H ≤ 23, 0 ≤ M ≤ 59)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.
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.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:0(자정)이고, 끝은 23:59(다음날 자정 1분 전)이다. 시간을 나타낼 때,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.
*/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
        if(b - 45 < 0){
           b = 60 + (b - 45);
           a = a - 1; 
        }else{
            b = b - 45;
        }
        if(a < 0){
            a = 23;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 a + " " + b);
    }
}

2525

//첫째 줄에는 현재 시각이 나온다. 현재 시각은 시 A (0 ≤ A ≤ 23) 와 분 B (0 ≤ B ≤ 59)가 정수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
//두 번째 줄에는 요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 C (0 ≤ C ≤ 1,000)가 분 단위로 주어진다. 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Scanner in = new Scanner(System.in);
 
        int A = in.nextInt();
        int B = in.nextInt();
 
        int C = in.nextInt();
 
        int min = 60 * A + B;   // 시 -> 분
        min += C;
 
        int hour = (min / 60) % 24;
        int minute = min % 60;
 
        System.out.println(hour + " " + minute);
    }
 }

2480

/*
1에서부터 6까지의 눈을 가진 3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상금을 받는 게임이 있다. 

같은 눈이 3개가 나오면 10,000원+(같은 눈)×1,0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. 
같은 눈이 2개만 나오는 경우에는 1,000원+(같은 눈)×1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. 
모두 다른 눈이 나오는 경우에는 (그 중 가장 큰 눈)×1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.  
예를 들어, 3개의 눈 3, 3, 6이 주어지면 상금은 1,000+3×100으로 계산되어 1,300원을 받게 된다. 또 3개의 눈이 2, 2, 2로 주어지면 10,000+2×1,000 으로 계산되어 12,000원을 받게 된다. 3개의 눈이 6, 2, 5로 주어지면 그중 가장 큰 값이 6이므로 6×100으로 계산되어 600원을 상금으로 받게 된다.

3개 주사위의 나온 눈이 주어질 때, 상금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하시오.
*/
import java.util.Scanner;
 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canner in = new Scanner(System.in);
 
		int a, b, c;
		a = in.nextInt();
		b = in.nextInt();
		c = in.nextInt();
 
		// 만약 모든 변수가 다른 경우
		if (a != b && b != c && a != c) {
			int max;
			// 만약 a > b 라면
			if (a > b) {
				// c > a > b 라면
				if (c > a) {
					max = c;
				} 
				// a > (b, c)
				else {
					max = a;
				}
			}
			// b > a 라면	
			else {
				// c > b > a 라면
				if (c > b) {
					max = c;
				}
				// b > (a, c)
				else {
					max = b;
				}
			}
			System.out.println(max * 100);
		}
		//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서로 같은 변수가 존재할 경우
		else {
			// 3개의 변수가 모두 같은 경우
			if (a == b && a == c) {
				System.out.println(10000 + a * 1000);
			}
			else {
				// a가 b혹은 c랑만 같은 경우
				if(a == b || a == c) {
					System.out.println(1000 + a * 100);
				}
				// b가 c랑 같은 경우
				else {
					System.out.println(1000 + b * 100);
				}
			}
		}
	}
}
반응형
SMALL

'공부 > 백준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입출력과 사칙연산 Java  (0) 2022.10.04
728x90

2557 Hello World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!");
	}
}

10718 We love kriii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ystem.out.println("강한친구 대한육군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강한친구 대한육군");
	}
}

1000 A+B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+ b);
	}
}

1001 A-B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- b);     
    }
}

10998 A*B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b);
    }
}

1008 A/B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double a = sc.nextInt();
        double b = sc.nextInt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/ b);
    }
}

10869 사칙연산

//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. 이때, A+B, A-B, A*B, A/B(몫), A%B(나머지)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+ b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- b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b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/ b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% b);
    }
}

10926 ??!

//첫째 줄에 준하의 놀람을 출력한다. 놀람은 아이디 뒤에 ??!를 붙여서 나타낸다.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String str = sc.nextLine(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str + "??!");
    }
}

18108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?!

//2541 >>> 1998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2541 - 1998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- b);
    }
}

3003 킹, 퀸, 룩, 비숍, 나이트, 폰

//체스는 총 16개의 피스를 사용하며, 킹 1개, 퀸 1개, 룩 2개, 비숍 2개, 나이트 2개, 폰 8개로 구성되어 있다.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[] cnt = new int[6];
        int[] full = new int[]{1, 1, 2, 2, 2, 8};
        for(int i = 0; i < 6; i++){
            cnt[i] = sc.nextInt(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for(int j = 0; j < full.length; j++){
            cnt[j] = full[j] -  cnt[j]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(cnt[j] + " ");
        }
       
    }
}

10430 나머지

//첫째 줄에 (A+B)%C, 둘째 줄에 ((A%C) + (B%C))%C, 셋째 줄에 (A×B)%C, 넷째 줄에 ((A%C) × (B%C))%C를 출력한다.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int b = sc.nextInt();
        int c = sc.nextInt();
        
        System.out.println((a + b)%c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((a % c) + ( b % c))%c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(a * b)%c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((a % c) * (b % c))%c);
        
    }
}

2588 곱셈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        int a = sc.nextInt();
        String b = sc.next();
        
        sc.close();
        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(b.charAt(2) - '0'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(b.charAt(1) - '0'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(b.charAt(0) - '0'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* Integer.parseInt(b));
    }
}

10171 고양이

/*******
\    /\
 )  ( ')
(  /  )
 \(__)|
 *******/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\\    /\\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)  ( ')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(  /  )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\\(__)|");
        
    }
}

10172 개

/*
|\_/|
|q p|   /}
( 0 )"""\
|"^"`    |
||_/=\\__|
*/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|\\_/|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|q p|   /}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( 0 )\"\"\"\\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|\"^\"`    |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||_/=\\\\__|");
    }
}

25083 새싹

/*
         ,r'"7
r`-_   ,'  ,/
 \. ". L_r'
   `~\/
      |
      |
*/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        ,r'\"7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r`-_   ,'  ,/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\\. \". L_r'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  `~\\/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     |"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      |");
        
    }
}
반응형
SMALL

'공부 > 백준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Java 단계별로 풀어보기 - 조건문  (0) 2022.10.10

+ Recent posts